건보공단 "중이염 등 동반가능...적극 치료 필요"

건강보험 진료데이터 분석결과 발표

환절기에 심해지는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으로 진료받은 환자가 2017년 기준 월평균 1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의 경우 38%가 이 질환으로 의료기관을 찾아 해당 연령대 다빈도 질환 3위를 기록했다.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은 외부 항원이 코를 통해 코 점막을 자극시켜서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맑은 콧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고 재채기가 발작적으로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코점막이 붓는 부종이 보이고 지속적인 코막힘이 나타난다. 알레르기 질환의 특징적인 눈과 코 가려움이 동반하며 심한 경우 목 주변이 가렵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최근 5년 간(2013년~2017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발표내용을 보면,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질환의 10만명당 진료인원은 13,530명으로 전체 건강보험 가입자의 13.5%가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 38.4%, 10대 18.1% 순으로 나타났고, 20대 이상은 9~12%대의 진료 비율을 보였다.

성별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았다. 연령별로 나눠 보면 19세 이하의 청소년의 경우 여성과 남성이 비슷했으나, 30대와 20대는 여성이 남성보다 각각 1.7배, 1.5배 씩 더 많았다. 그러나 이 차이는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70세 이상에서는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0.7배로 오히려 적게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고 했다.

이어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은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지며, 알레르기 피부반응의 반응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 및 부비동염 등의 원인 인자로 인해 성인에 비해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염으로 진료 받는 소아 환자의 수가 타 연령대에 비해 높을 수 있다”고 했다.
   
정 교수는 또 “여성의 경우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으며, 임신 후기에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폐경 후에 나타나는 호르몬 변화는 비점막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폐경 후 여성에서는 관련 증상들이 남성과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년 597만 명에서 2017년 689만 명으로 연평균 3.7% 증가했다.

성별 진료인원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 3.9%, 여성 3.5%로 남성이 조금 더 높았다. 진료인원은 2013년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더 많았는데, 2017년 1.1배로 차이가 줄었다.

연령대별 성별 인구증감을 감안한 10만명당 진료인원을 보면 9세 이하 및 10대 청소년층 진료인원이 각각 연평균 5.2%, 5.8%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선진국병’이라고 불리는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보다 위생적인 환경 및 선진국형 생활양식의 변화가 환자의 증가의 유발 인자라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아 및 청소년층의 경우, 이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에는 취약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2017년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J30) 환자의 동반 질환을 보면 코폴립(J33), 코및비동의기타장애(J34), 급성부비동염(J01), 천식(J45) 등 환자가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 교수는 “비염이 잘 조절되지 않아 비점막의 충혈 및 부종이 있는 경우 부비동의 환기 및 배액을 저해해 부비동염 및 코폴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