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경계선에 있는 애매한 기업들 있어
다국적사·바이오벤처 특성 반영 못해

정부가 혁신형제약기업 인증 유형을 '선도형'과 '도약형', 2가지로 정하는 방안을 잠정 확정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글로벌제약사와 바이오벤처를 아우를 수 있는 세부적인 기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보건복지부는 9일 오후 제약산업육성지원위원회에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용역(연구책임자 이상원 성대약대교수 등) 결과를 보고하고, 향후 정책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연구팀은 제약기업 대상 설문조사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을 2개 유형으로 구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선도형 혁신형제약기업'과 '도약형 혁신형제약기업'이 그것이다.

'선도형'은 연구와 수출성과를 목표로 신약개발과 판매, 해외진출을 모색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이들 기업에는 연구개발와 해외진출을 중점 지원한다.'도약형'은 기업성장을 목표로 신약개발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주로 하는 기업이다. 정부는 연구개발, 상담·조언(컨설팅), 기술이전/사업화 등을 중점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관계자는 “현재 나온 2가지 유형으로는 제약사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구체적인 안을 봐야겠지만, 지원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조헌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상무 역시 선도형과 도약형을 나누는 기준 자체가 애매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에이비엘바이오와 같은 바이오벤처는 연구를 주도적으로 해 나가기 때문에 선도형으로 분류될 수도 있지만, 기술이전 등의 경험이 있어 도약형으로 볼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선도형과 도약형으로 나눈 취지는 알겠지만 구체적으로 현행 R&D 지원 규모에서 어떻게 혁신형제약기업을 지원할지 우려스러운 측면이 있다”며 “혁신형제약기업에 들지 못 한 나머지 제약사들에 대한 지원 체계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다국적제약사 소외론도 나왔다.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관계자는 “중간 보고 때는 연구주도, 수출주도, 외국계혁신형, 벤처혁신형 4가지로 나눠져 있었던 것으로 안다”며 “현행 2가지 유형은 국내 제약사 위주인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혁신신약을 국내에 도입하는 것에 대한 우대 조건은 빠졌다. 현행 기준은 연구와 수출만 우대해 주는 측면이 있어서 (글로벌 제약사에 대한 고려는) 부족해 보인다”고 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 대표는 “특화연계형을 추가해서 희귀필수의약품을 생산하는 국내 중소제약기업과 글로벌 제약사도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단순하게 혁신형제약기업으로 자격을 부여할 지 등 보다 체계적인 지원책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키워드

#혁신형제약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