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한 해만 744개 진입...신규 고용 3,179명

복지부, 첫 실태조사 결과 발표

2010~2016년 사이 새로 창업한 보건산업분야 기업이 4000개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한해에만 700개가 넘게 새로 문을 열었는데 이들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 효과는 3천명이 넘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올해 처음 실시한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창업 및 고용 현황, 자금 조달 및 재무 현황 등이 담겨있다.

이번 조사는 코리아데이터네트워크에 의뢰해 지난 3~11월 이메일, 팩스, 전화조사 등을 병행해 실시됐다. .2016년 기준 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 창업 7년 이내(2010년~2016년) 생존중인 4144개 기업을 모집단으로 해서 유효표본 600개 기업을 추출했다. 표본조사 결과를 활용해 모집단 값을 추정했는데 신뢰도 95%, 표본오차 ± 3.42%다.

창업현황=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 창업은 2010년~2016년 기간 동안 총 4144개가 세상에 나왔다. ‘의료기기’가 2429개로 절반 이상(58.6%)을 차지했고, ‘의약품’ 279개(6.7%), ‘기능성화장품’ 399개(9.6%), ‘건강기능식품’ 391개(9.4%), ‘연구개발업’ 555개(13.4%), 보건의료정보 64개(1.5%) 등으로 나타났다.

이중 개인창업이 94.8%(법인창업 3.1%)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전체 창업기업의 52.5%는 ‘벤처기업 인증’을 받았다.

인력현황=창업기업의 2016년 12월 기준 총 고용인원은 3만 472명이었다. 직무별 인력 비중은 ‘경영?관리’ 3693명(12.1%), ‘연구개발’ 9082명(29.8%), ‘일반사무’ 4473명(14.7%), ‘기능?생산’ 9669명(31%) 등으로 집계됐다.

신규 고용창출은 3179명이었는데 ’의료기기‘ 분야가 1424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구개발업‘ 525명, ’기능성화장품 ‘473명, ’의약품(제약)‘ 361명, ’건강기능식품‘ 344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창업자금 조달=평균 창업자금은 2억8000만 원, 창업이후 자금 조달액은 6억400만 원, 평균 자금조달 횟수는 3.7회로 나타났다. 창업 이전에는 ‘자기자금’(88.1%), ‘민간금융’(28.1%), ‘정부 정책자금’(27.4%) 순서였고, 창업 이후에는 ‘정부 정책자금’(72.5%) 비중이 가장 높았다. 다음은 ‘민간금융’(35.4%), 자기자금(22.2%) 순서였다.

재무현황=2016년도 평균 매출액은 9억300만 원이었고, 창업 5년차 기업의 평균 매출액은 14억3100만원(1년차 기업 1억9400만 원)으로 창업연차가 오래될수록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6년 12월 기준 분야별 평균 매출액은 기능성화장품이 26억4700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의약품 15억2900만 원, 건강기능식품 14억1000만 원, 의료기기 6억3500만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 비중은 국내 90.7%, 해외 9.3%였으며, 해외매출 대부분(57.8%)이 의료기기업종에서 발생해 의료기기 수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활동=2016년 연구개발 지출(평균) 금액은 1억2900만원이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4.3%로 매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71.0%의 창업기업이 연구개발 조직?인력을 보유했다.

창업자 일반현황=창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창업자금 확보’(82.9%)로 나타났으며, 생계유지 문제(21.7%), 창업 관련 지식?경험 부족(17.4%) 등 순서로 나타났다.

창업 직전은 ‘취업상태’가 91.7%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창업까지 소요기간은 ‘1년 미만’이 51.5%로 절반이 넘었다. 1~3년 미만은 34.5%였다. 창업동기는 ‘자아실현’(44.0%), ’경제적 풍요(30.7%), ‘독립과 자유’(10.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체 4곳 중 1곳만이 창업교육이나 컨설팅을 받았다고 했다.

해외진출=창업기업의 27.2%가 해외에 진출했고, 분야별로는 ‘기능성화장품’ 분야 기업이 과반이상(57.6%)을 차지했다.

정부 창업지원 관련 사업=창업기업의 65.6%가 창업지원사업 수혜 경험이 있고, ‘정책자금’(69.3%), ‘연구개발(R&D) 지원’(45.7%), ‘사업화지원’(20.5%) 등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참여 기업의 경우 ‘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도 부족’(32.6%), ‘절차 및 구비서류 복잡’(28.3%) 등을 이유로 거론했다. 필요지원사업에 대해서는 ‘초기단계 금융지원’(40.2%), ‘창업후 안정기까지 경제적?생계유지 지원’(31.2%) 등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임인택 보건산업국장은 “최근 7년간 기술기반 보건산업 분야 창업이 2배 가까이 늘어 ‘제2의 창업 붐’이 일어나고 있고, 2016년도에 창업한 기업의 신규 고용창출도 3179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창업 5년차 기업의 평균 매출액이 1차년도 대비 6배 이상 상승한 데서 알 수 있듯이 초기 어려움을 극복하고 본격 성장기 진입 시 매출 등 성과가 극대화된다”며 “연구개발(R&D) 결과물이 혁신적 기업의 창업과 성장,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적 보건산업 생태계를 조성해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