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미국 행정명령, 자국 내 바이오 산업 육성에 초점
정부, 미국 정부의 후속 투자·인센티브 정보 신속히 파악해야

미국의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 서명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바이오의약품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은 이어지고 있다.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에 서명했고, 백악관은 14일 바이든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추진하기 위해 20억 달러(약 2조8280억 원) 이상 자금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투자 계획이 20억 달러에 불과한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23일 "이번 행정명령은 탄소 배출 감소는 물론 전 산업 분야의 제조공정 혁신을 불러올 합성생물학과 바이오 제조를 위한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미국 정부의 투자가 맞춰진 것으로 판단된다"며 "바이오 제조 개념에는 미생물을 공장처럼 사용한다는 소위 바이오파운드리(Biofoundry)라는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은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바이오 제조 투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

14일 미국 보건복지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API, 항생제, 필수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산업적으로 관련된 주요 출발물질에 대한 바이오 제조 역할 확대 및 현재, 미래의 팬데믹 대응을 위해 4000만 달러(약 560억 원)를 투자한다고 언급되어 있다. Schimidt Futures 정책보고서에는 특별히 원료의약품, 항생제 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 관계자는 우리가 주목할 부분에 대해 "미국 바이오 행정명령의 배경에는 미국에서의 혁신 바이오 기술 개발 및 개발된 제품의 미국 내 생산(Innovate here, produce here)이라는 강력한 메시지가 있다"며 "새로운 바이오 기반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바이오매스 원료 공급망, 신속하고 효율적인 규제 시스템 정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인력 양성 프로그램 등 바이오 경제 생태계 조성에 대한 각 부처별 후속조치에 대해 지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이 자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 인프라와 민간기업의 시설 확장, 공공 구매 등의 조치 등을 취한다면, 우리 정부도 우리가 강점이 있는 분야는 더 강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바이오의약품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정부간 채널을 통해 미국 정부의 후속 투자, 재정 지원 및 인센티브 등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파악해 국내 기업에 제공해야 한다"며 "우리 기업들이 이에 대응한 미국 진출 전략을 수립 및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