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속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방안
"투자금 조성·규제 혁신·인프라·글로벌 협력 등 전방위 지원 할 것"
"제도가 걸림돌이라면 실증 해서라도..." 샌드박스 실증, 인력양성도

정부가 감염병 유행·경제 저성장 극복을 위한 바이오헬스 사업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2차관은 27일 대통령 주제 제4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개최하며 바이오헬스 △투자 가속화 △규제 혁신 △혁신 인프라 조성 △글로벌 협력 강화 등을 담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 방안' 논의 결과를 발표했다.

바이오헬스 투자 가속화 주요 정책은 △백신·치료제 개발 지속 지원 △바이오헬스 민간 투자 활성화 △K-바이오·백신 펀드 등 민관투자 확대 등으로 확인됐다.

우선 백신 및 치료제 지원계획을 살펴보면, 코로나, 메르스, 지카 등 팬데믹 가능성이 높은 후보군의 백신 후보물질 개발을 지원하며, mRNA, 항바이러스제, 범용백신 등 대응 핵심 기술에 대해서도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백신 임상시험에 대해서는 6개사 백신 지속 지원과, 국산 1호 백신 WHO 사전적격심사 및 추가접종 효능확인 등 글로빌 진출 기반을 마련하고, 치료제는 임상시험 지원 및 중저소득국 위탁 생산을 병행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민간투자 목표액은 13조원(2026년까지)이다. 이를 위해 인·허가, 입지, 기반 조성 지원 및 세액공제와 금융 지원을 강화하며, 해외 백신 원부자제·장비 제조기술 확보를 위한 인센티브 확대와 글로벌 기업 투자를 적극 유치한다는 설명이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2차관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2차관

K-바이오·백신 펀드 조성을 위한 민관 투자도 확대된다. 혁신적 신약 개발 및 백신 자주권 확보를 목표로 글로벌 메가펀트 조성을 시작한다.

연내 목표는 5천억원으로 복지부는 향후 펀드규모를 1조원까지 확대하며, 2030년까지 신약 파이프라인(임상 2상 이상) 대상 2.2조원 규모의 연구개발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규제 혁신도 진행된다. 인공지능·디지털 혁신 의료기기 규제개선으로 비침습 혁신 의료기기의 신속한 현장활용 방안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첨반바이오제품 등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맞춤형 Fast Track 지원이 이뤄질 전망이다. 네거티브 규제 확대 적용과 데이터 기반 임상시험, 시설기준 규제 완화 등 제품 특성에 맞춘 지원과 글로벌 진출 등이 추진된다.

아울러 기존 제도로 판단이 어려운 신사업 영역 대상 기술들을 위한 혁신 로드맵 마련과 필요성에 따라 규제 샌드박스 사업을 통한 실증 지원도 이뤄질 전망이다.

바이오 소부장 등 국내 인프라 조성을 위한 창업과 중소기업 지원도 본격 시작된다. 국산화가 시급한 소부장 품목을 선정해 개발을 지원하고, 창업기업은 상담과 인허가, 투자유치 등 전주기 지원을 시작한다.

중소기업의 경우는 첨단의료 복합단지 등 제조·품질관리모델 적용 시설을 제공해 고품질 제품 생산을 지원한다.

제약·바이오·규제과학 등 영역별 인재양성 사업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K-NIBRT, 규제과학 석박사급 전문인력 양성, 의료인공지능, 의사 과학자 등 첨단인재 양성 지원이 이어질 전망이다.

산업별 인력 부족률(2020년도 기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실태조사)
산업별 인력 부족률(2020년도 기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실태조사)

정부는 바이오헬스 규제혁신 로드맵 제시와 현장 밀착형 규제 혁신 등을 신속히 추진하고 산업계와 지속 소통하며 애로사항 해소 및 전주기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