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새 정부에 디지털 헬스케어 컨트롤 타워 생기길"

디지털 헬스케어 새 동력을 정책적 지원으로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로 급부상한 디지털 헬스케어가 정부의 대응전략 변화와 더불어 침체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관계자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발전 지속을 위해 새 정부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컨트롤 타워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 3월 14일과 이달 1일 등 여러 차례에 걸쳐 코로나19 이후로 지속해 온 보건의료 비대면 정책을 대면으로 전환했다.

거리두기 정책 역시 십만 단위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도 사적모임 24시 10명 제한 등 점차 완화되고 있다. 최근 병상 가동률은 60% 선을 유지하고 있는 등 방역 역량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당선인이 업무보고, 공약에도 언급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지만 산업계는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새로운 동력이 정책으로써 만들어 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간 부재했던 디지털 헬스케어 만을 위한 컨트롤 타워가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는 2020년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등 범부처 사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사업지원 대상 외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복지부 등 여러 부처를 상대해야하는 고충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보건복지, IT, 인공지능, 데이터 등 복합적인 사업 영역으로 정부 부처들을 아우를 수 있는 정책 단체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대통령 직속 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 정부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유사한 성격의 디지털 헬스케어 정책 전반을 아우르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관계자는 "장관급 인사를 위원장으로, 부처 실장급 공무원을 간사로 구성한 대통령 직속 위원회도 고려해야 한다"며 "차기 정부가 수석비서관실 축소 등을 발표하고 있는 상황에서 산업계 목소리를 청취하고 정책을 주도할 수 있는 정부 단체가 설립돼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지난달 24일 보건복지부 업무보고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육성 △바이오헬스 산업 생태계 구축 △백신·치료제 개발 선도 등 바이오헬스 산업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