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새 정부 인수위에 낙담한 제약산업계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에게 한껏 기대를 걸었던 제약바이오산업계에 실망의 그림자가 깃들었다. 후보 시절 보건 및 제약바이오 부문 정책공약에서 '보건안보 확립과 국부창출의 새로운 길'을 강조하며 ▷국무총리 직속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 설치 ▷백신주권, 글로벌 허브 구축을 위한 국가 R&D 지원 ▷제약바이오산업 핵심인재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생태계 조성을 약속했던 윤석열 당선자의 인수위원회에 제약바이오전문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우려 때문이다.

산업계가 인수위원회에 제약바이오 전문가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사실만으로 이처럼 민감하게 실망하는 것은, 인수위 단계부터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대폭 반영할 수 있는 제약바이오전문가가 참여해 큰 틀의 산업육성정책을 설계하고, 당선인이 제시한 공약을 구체화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크기 때문이다. 국내 산업이 글로벌 산업으로 성장하려면 무엇보다 정부의 뒷받침이 절실하고, 2022년 지금이야말로 산업의 도약을 이룰 수 있는 적기이자 갈림길이라고 산업계는 판단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제약산업을 미래차·시스템반도체와 함께 미래 핵심동력으로 다루는 것처럼 세계 제약바이오선진국들도 오래전부터 정부차원에서 제약바이오 전략을 수립, 시행하며 산업계의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미국은 21세기 치유법(2016년 제정), 미국 구조 계획 및 연구 가속화 ARPA-H를 신설(2021년 7월)해 2090조원의 재정을 투입하고 있다. 우리 눈으로 보았듯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재정 14조원을 지원하는 초고속작전(OWS)을 펼쳐 인류건강 회복 및 자국 기업 육성 측면에서 엄청난 성과를 거뒀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와 인수위원회.(출처=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와 인수위원회.(출처= 제20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미국만 그런 것은 아니다. 영국은 '모두를 위한 바이오경제'라는 구호 아래 영국연구혁신기구(UKRI)를 출범시켜 2030년까지 2014년 대비 2배 확대를 추진중이며, 독일도 하이테크전략을 업그레이드 해 2019년 R&D에 26조원을 투자했다. 제약바이오산업에서 이미 우리를 앞서 나간다는 평가를 받는 중국도 국제 경쟁력 강화에 나섰고, 글로벌 빅파마 서너곳을 보유한 일본도 내각부에 건강의료정책본부를 신설하는 등 바이오분야의 컨트롤타워를 구축해 최근 5년간 R&D에 8조원을 투입했다. 

근래 우리나라 제약바이오산업이 코로나19 진단키트 개발과 수출, 백신 수탁생산, 바이오시밀러 수출 증가, 신약개발 기술 수출 등 외관적으로 발전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지만, 냉정하게 평가해 글로벌 플레이어라고 하기에는 현저히 미흡하다. 우리나라도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긍정적 성과를 이어받아 10년간 1조5000억원을 투입하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을 가동하고 있지만, 중앙컨트롤타워를 축으로하는 생태계 활성화와 주마가편은 필요하다. K제약바이오에 효과적이고, 압축적인 정부 지원이라는 수요가 존재한다는 이야기다.

다뤄야 할 주요 정책이 해수욕장 모래알처럼 많다는 점을 이해하지만, 새 정부 인수위원회는 무엇보다 미래 나라 경제의 버팀목이 될 가능성 높은 제약바이오산업을 등한시 하지 않았으면 한다. 자료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전 세계 제약바이오시장은 2020년 기준 1100조원에서 2026년 1700조원까지 고속 성장이 예상된다. 특히 이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은 2020년 29%에서 35%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3000곳이 넘는다는 바이오벤처와 349곳(한국제약바이오협회 통계 기준)이 넘는 전통제약회사들의 협력으로 누군가 '글로벌 제약회사'로 성공하기위해서는 '정부의 최대주주 역할'은 꼭 필요하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