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분자 약물과 달리 질병의 원인인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국립암센터, 새로운 치료 돌파구 마련 위해 '토론의 장' 마련

특정 질환의 원인인 단백질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표적단백질 분해기술'이 향후 항암제 신약의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올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황종연 박사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황종연 박사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이자 과학기술연합대학원 교수인 황종연 박사는 4일 국립암센터가 개최한 암과학포럼에서 "신약 개발 분야에서 게임체인저로 인식되고 있는 '표적단백질 분해기술'은 저분자 약물과 달리 질병의 원인인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 박사는 "TPD라고 불리는 표적단백질 분해기술은 저분자 약물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기존 표적 치료제가 가진 한계도 해결할 수 있다"며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 80%를 약물로 제거할 수 없는 점, 고농도 약물 사용 시 발생하는 부작용 등을 TPD는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TPD 기술로는 단백질 분해를 중심으로 활용되는 PROTAC을 포함해 리소좀(Lysosomal)을 타겟하는 LYTAC, 자동(Autophagy)으로 타깃을 정하는 AUTAC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는 PROTAC(Proteolysis Targeting Chimeras)이다. 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PROTAC은 표적단백질과 E3 연결 효소를 각각 리간드와 결합하고 이 두 결합체를 링커(Linker)라는 기술로 다시 결합해 표적단백질을 분해하는 기술이다.

황 박사는 PROTAC의 가장 큰 장점으로 저용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볼 수 있는 점을 꼽았다. 그는 "PROTAC의 경우 기전상 운영되는 링커가 한 표적단백질을 분해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재사용되기 때문에 저용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예를 들어 하루에 한 번 먹는 약에 PROTAC 기술을 도입하면 일주일에 한 번 먹어도 비슷한 약효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PROTAC이 넘어야 할 한계 또한 지적했다. 황 박사는 "현재 PROTAC 기술에서 활용되고 있는 E3 연결 효소가 몇 가지에 불과해 더 많은 연결 효소를 찾아야 한다"며 "임상 중인 PROTAC이 항암제에 집중돼 있는 상황을 탈피하고 다양한 질환에 도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립암센터, 새로운 치료 돌파구 마련 위해 '토론의 장' 마련

 '항암신약개발 A-Z' 암과학포럼 기념사진
'항암신약개발 A-Z' 암과학포럼 기념사진

이번 포럼은 국내 암 발생과 사망률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됐으며 국립암센터가 '항암신약개발 A-Z'라는 이름으로 마련한 토론의 장은 이번이 세 번째다.

국립암센터 김영우 연구소장은 "이번 포럼은 국민과 국내 암 관련 모든 전문가들을 위한 장"이라며 "세 번째 주제인 '표적단백질 분해기술'은 신약 개발 플랫폼 기술로 이미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립암센터 서홍관 원장은 "오늘 이 자리는 새로운 항암 전략인 선택적 단백질 분해기술과 관련 학계 기업 등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을 모아 항암 신약 연구의 도약을 준비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오늘 포럼을 통해서 혁신적인 항암 신약 개발이 활성화되고 나아가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마무리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