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P-4 억제제 자누비아·가브스 4%, 트라젠타 8% 감소
자디앙 23% 오르며 포시가 뒤쫓아… TZD 계열은 하락세

올해 1분기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후발 주자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히트뉴스가 의약품 시장조사데이터 유비스트(UBIST) 원외 처방 실적을 집계한 결과, DPP-4 억제제 시장에서는 △LG화학 △한독 △동아에스티 등 국내 제약사들이 약진했고 SGLT-2 억제제 시장이 전체적으로 확대됐다.

DPP-4 억제제 시장은 1444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1억원 감소했고, SGLT-2 억제제 시장은 322억원으로 포시가와 자디앙의 선전 덕에 14% 성장했다. 이에 반해 TZD 계열 처방시장은 113억원으로 4% 감소했다.

DPP-4 억제제 계열은 국내 제약사 품목들이 약진했다. 베링거 '트라젠타' 뒤를 LG화학 '제미글로'가 바짝 쫓고, 한독 '테넬리아'가 노바티스 '가브스'를 역전한 양상이다.

계열별 당뇨병 치료제 처방실적 (UBIST 원외처방실적, 히트뉴스 집계)
계열별 당뇨병 치료제 처방실적 (UBIST 원외처방실적, 히트뉴스 집계)

LG화학 제미글로 시리즈는 전년 274억원 대비 7% 증가한 295억원의 실적을 기록해 DPP-4 억제제 제품군 3위에 안착했다. 제미글로가 87억원으로 감소했지만, 복합제 '제미메트'가 전년 185억원 대비 12% 증가한 208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2위 트라젠타 시리즈와의 격차는 43억원에서 10억원으로 좁아졌다.

한독 테넬리아 시리즈는 지난해 101억원보다 9.5% 증가한 110억원으로 가브스 시리즈를 따돌려 4위가 됐다. 테넬리아가 50억원, 테넬리아엠이 59억원이다. 테넬리아 시리즈는 2019년 373억원, 지난해 425억원을 달성한 바 있다.

동아에스티의 슈가논 시리즈는 LG화학이나 한독보다 급상승했다. 51억원에서 72억 원으로 DPP-4 억제제 계열 중 '41%'로 가장 크게 성장했다. 슈가논은 29억원, 슈가메트는 43억원으로 두 자리대 성장률을 보였고 2019년 162억원, 지난해 245억원을 거기록해 올해 누계 실적이 주목된다.

반면 시장 선두였던 다국적사의 품목군들은 모두 하락했다. DPP-4 억제제 1위인 MSD의 자누비아 시리즈는 전년 432억원 대비 4% 감소해 415억원의 분기 실적을 거뒀다.

베링거의 트라젠타 군도 305억원의 실적으로 8% 줄었다. 노바티스 가브스 시리즈는 106억원, 올해 셀트리온제약이 다케다에 인수한 네시나 시리즈는 50억원으로 각각 4%, 6% 감소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온글라이자·콤비글라이자가 전년 대비 실적이 변하지 않아 다국적사 사이에서 선전한 편이다. JW중외제약의 가드렛 시리즈는 NDMA 검출로 제조·판매가 중단된 '가드메트'로 인해 55% 급락한 16억원의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SGLT-2 억제제 시장은 분기 실적 300억원을 넘겨 올해도 1000억 원대의 시장을 이룰 전망이다. 아스트라제네카 포시가 시리즈는 153억원보다 10% 증가한 168억원으로 시장을 이끌었다. 직듀오가 77억원으로 전년 동기 18% 증가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자디앙 군은 자디앙이 91억원, 자디앙 듀오가 50억원으로 전년 동기 115억원보다 23% 오른 14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412억원의 실적을 거뒀는데 올해 1분기 성적이 약 3분의 1를 차지했다.

아스텔라스제약 슈글렛과 MSD 스테글라트로는 각각 8억원, 5억원을 기록했다. SGLT-2 억제제 시장은 지난해 1115억원의 처방실적을 달성했다.

하지만 TZD 계열 시장은 역성장했다. 셀트리온제약 액토스 시리즈는 전년 동기 7% 감소한 57억원, 종근당 듀비에 시리즈는 56억원으로 지난해 성적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