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포장-첨부문서로 의약품 정보제공 하지만 실효성 떨어져
정보전달 효율성 높일 개선방안 찾아야...자원낭비 지적도

조제용 의약품의 캡 위나 약통측면에 첨부문서들이 붙어 있거나 고무줄로 밴딩되어 있다.
조제용 의약품의 캡 위나 약통측면에 첨부문서들이 붙어 있거나 고무줄로 밴딩되어 있다.

“머리에 이고, 옆구리에 붙이고...”

의약품 첨부문서의 신세다. 그러나 결국은 쓰레기통!!

약사법은 제품명, 용법용량, 주의사항 등 의약품의 의무 기재사항을 규정하고 이를 직접용기나 포장 또는 첨부문서에 반드시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용기나 포장의 면적이 의무기재사항을 모두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첨부문서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제약회사들은 이 첨부문서를 별도의 외부포장이 있는 제품은 케이스 안에 동봉하지만 병포장 등의 경우 병의 캡 또는 측면에 작게 접은 문서를 붙이거나 고무줄로 밴딩해서 출하한다. 이러다보니 약국 조제실에 들어가면 첨부문서를 “머리에 이고, 옆구리에 붙인” 의약품들이 진열된 것을 볼 수 있다.

소량 병포장 여러개가 들어간 박스포장을 개봉하면 밑바닥에 첨부문서들이 한꺼번에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소량 병포장 여러개가 들어간 박스포장을 개봉하면 밑바닥에 첨부문서들이 한꺼번에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포장째 직접 판매되는 일반의약품은 그나마 첨부문서가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되긴 하지만, 약사가 조제하는 전문의약품의 경우 거의 대부분 그대로 버려지는 것이 현실. 서울 성동구 한 약국에서 1시간 가량 머물며 취재하는 동안에도 20장 이상의 첨부문서가 쓰레기 통으로 직행했다. 30정 병포장 20개가 들어가는 소형 박스포장을 열어보니 밑바닥에 병포장 숫자 대로 20장의 첨부문서가 깔려 있기도 했다.

이 약국 약사 A씨는 “완포장으로 판매하는 일반약은 소비자에게 첨부문서가 전달되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1회 분량씩 조제하는 전문약은 뜯어서 바로 버리는데 그 양이 적지 않다”며 “포털에서 약 이름만 치면 첨부문서 내용을 그대로 볼 수 있는데 효용가치가 없는 이런 방식을 그대로 두는 건 자원낭비”라고 말했다.

1시간 동안 버려진 첨부문서만 20개가 넘었다.
1시간 동안 버려진 첨부문서만 20개가 넘었다.

전문약의 첨부문서 문제는 지난 5월 식약처 규제개혁 신문고에 민원사항으로 올라오기도 했었다. 당시 식약처는 “전문약 첨부문서 동봉을 생략하고 해당 제품의 정보를 별도 인터넷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환자안전을 두텁게 보호해야 할 안전관리정책에 역행할 우려가 있어 수용 곤란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해 의약품 정보전달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는 식약처의 원론적 입장은 이해되지만, 정보전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외면한 면피용 행정이라는 지적도 있다.

의약품 외부포장 표시제도를 연구한 한 연구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의약품 외부포장 기재와 관련한 세부지침이 구체적이지 않고 첨부문서도 모든 인허가 사항을 넣다보니 작은 글씨로 빽빽하고 보기 어렵게 되어 있다”며 “외부포장이나 첨부문서 모두 소비자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제공 수단이라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뚜렷한 개선방향이 나오지 않는 이상 ‘버려지는 첨부문서’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키워드

#첨부문서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