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약 수출 40억7000만달러 돌파...총 의약품 생산실적 20조3580억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은 2017년 20조3580억원으로 2016년(18조8061억원) 대비 8.3% 늘어나 20조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바이오의약품을 포함한 전체 의약품 수출은 2016년(31억 2040만달러, 3조 6209억원) 대비 30.5% 증가한 40억 7126만달러(한화 4조6025억원)을 기록했다. 

'17년 국내 의약품 생산, 수출 및 수입 현황 자료
'17년 국내 의약품 생산, 수출 및 수입 현황 자료

식약처는 6일 2017년도 의약품 생산 실적 통계를 발표했다. 작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20조3580억원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조6015억원으로 전년(2조 79억원) 대비 29.6% 증가해 큰 폭으로 성장했다.

2017년 의약품 생산실적은 국내총생산(GDP) 중 1.18%를 차지했으며, 제조업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7%였다. 특히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의약품 총생산은 5.6% 증가하여 전체 제조업 평균(4.3%)을 웃돌았다.

작년 국내 의약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완제의약품보다 원료의약품 생산실적의 더 큰 증가폭 유지 ▲국내 개발신약 생산실적의 증가 ▲생산실적 1위 업체?제품 변동 ▲미국?독일 등 선진국으로 수출 큰 폭 성장 등이었다.

완제의약품보다 원료의약품 생산실적 더 큰 증가폭 유지

의약품 가운데 완제의약품 생산실적은 2017년 17조5510억원으로 전년(16조3324억원) 대비 7.5% 증가한 반면, 원료의약품은 2조8070억원으로 전년(2조4737억원) 대비 13.5% 증가했다. 이는 국내 바이오시밀러 제조업체들의 해외 수출이 늘어나면서 원료의약품 생산량도 증가한데 따른 것이다.

원료·완제 의약품 생산실적

완제의약품 가운데 전문의약품은 14조5949억원(83.2%), 일반의약품은 2조9562억원(16.8%)이 생산됐으며, 전문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5년 동안 83%대를 유지했다.

국내 개발신약 생산실적 증가

인구 고령화로 고혈압?당뇨?관절염 등 만성질환 치료와 항암치료에 사용되는 국내 개발 신약 생산 증가에 힘입어 지난해 국산신약 생산실적은 1848억원으로 2016년(1678억원) 대비 10.1% 증가했다. 

국내 개발 신약 중에서는 고혈압치료제 카나브정’(402억원), 당뇨병치료제 제미글로정’(327억원), 항궤양제 놀텍정(261억원) 등의 순으로 생산실적이 높았다. 특히, 전년 대비 생산실적 증가율이 큰 제품은 만성폐쇄성폐질환 치료제 자보란테정’(652.0%), 항악성종양제 슈펙트캡슐’(229.0%), 관절염치료제 펠루비정(88.4%) 등이다.

생산실적 1위 업체와 품목 변동

제약사별 생산실적은 셀트리온이 작년 9023억원으로 2016년 대비 110.6% 성장해 1위를 차지했으며, 한미약품(7596억원), 종근당(7178억원), 대웅제약(6682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제약사별 생산실적
제약사별 생산실적

완제의약품의 경우 동맥경화치료제인 한독의 플라빅스정75mg (845억원)가 지난해 2위에서 1위로 올라섰으며, 그 뒤로 녹십자 알부민주20%(810억원), 삼진제약 플래리스정(787억원) 등 순이었다. 특히, 메디톡스의 메디톡신주(742억원) 생산이 전년 대비 136.9% 증가하여 4위를 기록했으며, 셀트리온의 트룩시마주(726억원)는 5위로 새롭게 진입했다.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원료의약품의 경우 셀트리온의 램시마원액(3,671억원)이 전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으며, 그 뒤로 트룩시마원액(3,473억원), 허쥬마원액(968억원) 등의 순이었다.

미국?독일 등 선진국으로 수출 큰 폭 성장

작년 수출은 40억 7126만달러(4조6025억원)로 전년 대비 30.5% 증가하여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했으며, 이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33.6%를 차지했다.

국가별 수출은 일본이 4억9748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3억8600만달러), 중국(3억5988만달러), 독일(2억2112만달러), 헝가리(2억1102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특히, 미국 수출이 3억8600만달러(4364억원)로 전년(1억1628만달러, 1349억원) 대비 232% 크게 증가하였고 독일(173%), 네덜란드(487%), 프랑스(189%), 영국(3,202%)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급증했다.

반면 수입은 55억7967만달러(6조3077억원)로 전년(56억3632만달러, 6조5404억원) 대비 1% 정도 줄어들었다. C형 간염치료제인 소발디정(1756만달러, -85.5%)과 하보니정(262만달러, -96.3%)의 수입 감소와 한국화이자제약(3억3910만달러, -19.3%), 한국노바티스(2억2637만달러, -10.5%)의 수입실적이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국가별 수입은 미국(7억4368만달러), 영국(7억882만달러),  중국(6억4334만달러), 독일(5억9482만달러), 일본(5억,066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의약품 전체 무역수지 적자폭은 15억840만달러(1조7052억원)인 반면 바이오의약품만을 별도로 분류할 경우 무역수지는 3687억원의 흑자를 나타내 3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바이오의약품 무역흑자 100% 이상 증가, 3년 연속 흑자 기록

2017년 바이오의약품 무역흑자는 2016년(1770억원) 대비 108.3% 증가한 3687억원이었는데, 식약처는 국내 바이오의약품 제조업체의 품질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속적인 규제개선과 지원이 있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13억6851만달러(1조5470억원)로 2016년(10억6397만달러, 1조2346억원) 대비 28.6% 증가했으며, 수입은 10억4235만달러(1조1784억원)로 2016년(9억1139만달러, 1조576억원) 대비 1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바이오의약품 무역흑자 증가는 바이오시밀러 등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수출(9억9156만달러)이 전년(7억1985만달러) 대비 37.7% 증가하고 독소·항독소 의약품 수출이 1억195만 달러(1153억원)로 2016년(5077만달러, 589억원) 대비 100.8%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수출실적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수출실적

바이오의약품 수출 가운데 바이오시밀러가 3분의 2 차지

바이오의약품 수출 1위 품목은 셀트리온 램시마원액(5억6458만달러, 6382억원)으로 2016년과 동일했으며, 셀트리온 트룩시마원액이 3억4817만달러(3936억원)로 2위를 차지했다.

이 중 램시마원액과 트룩시마원액의 수출은 9억1275만달러(1조318억원)로 전체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13억6851만달러, 1조5471억원)의 66.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램시마는 세계 최초 항체의약품 바이오시밀러로 국내에서 2012년 허가를 받았고 현재 미국·유럽 등 87개국에 허가됐으며, 트룩시마는 2015년 국내 허가를 받았고 현재 44개국에 허가 되어 향후 생산과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툴리눔 제제의 수출은 1억195만달러(1153억원)로 2016년(5077만달러, 589억원) 대비 100.8% 증가해 2년 연속 100% 이상 고속 성장세를 보였다. 우리나라 보툴리눔 제제는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에서 3상 임상시험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상태로 향후 우수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으로 수출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전자재조합의약품?보툴리눔제제?세포치료제 생산실적 급성장

작년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조6015억원으로 전년(2조79억원) 대비 29.6% 증가했으며, 최근 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독소·항독소, 세포치료제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작년 바이오시밀러 등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생산실적(1조2144억원)은 2016년(7331억원) 대비 65.7%, 보툴리눔 제제 등 독소·항독소 제품 생산실적(1724억원)은 2016년(1185억원) 대비 45.6%, 세포치료제 생산실적(470억원)은 2016년(366억원) 대비 29%가 증가했다.

바이오의약품 품목별 생산실적은 램시마원액이 3671억원을 생산해 1위를 차지했으며, 트룩시마원액(3473억원), 허쥬마원액(968억원), 녹십자-알부민주 20%(810억원), 메디톡신주(743억원), 트룩시마주(726억원)가 뒤를 이었다.

류영진 식약처장은 "최근 의약품 생산·수출 증가는 제약업계의 노력과 함께 정부가 '국제의약품규제조화위원회(ICH)'와 '의약품실사상호협력기구(PIC/S)' 가입 등 정부의 다양한 기술적·정책적 지원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해외 규제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을 위한 노력과 함께 국내 제약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기술 지원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