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원 연구원 "다양한 기전 고려 전략 다각화해야"

치매국가책임제에 따라 증가 추세를 보이던 알츠하이머 관련 정부 연구개발(R&D) 투자가 지난해를 기점으로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이 발간한 기술동향브리프 ‘알츠하이머 진단·치료기술’를 살펴보면, 2017년 알츠하이머 관련 정부과제는 461건, 총 정부연구비는 717억5300만원 규모로 가장 높았다. 2015년 346건(650억5100만원), 2016년 379건(692억300만원) 등과 비교하면 정부 지원은 계속 증가했다. 그러나 2018년에는 368건, 연구비 686억7100만원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

출처=한국과학기술평가원

이에 대해 김주원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퇴행성 뇌질환 관련 정부연구개발비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2% 내외로 증가하고 있고, 치매국가책임제와 제3차 국가치매관리종합계획 등에 비춰볼 때 (정부의 연구비 지원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직까지 (알츠하이머는) 단일 기전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하기 어렵다. 다양한 기전에 대한 개념증명과 병용투여, 신약재창출과 증상완화제 개발 등 여러 전략을 동시에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현재 알츠하이머는 명확한 발병 기전이 나오지 않았다. 아밀로이드 단백질 가설이 가장 유력한 발병 기전이었으나, 최근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 임상시험은 번번히 실패했다. 때문에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위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런 접근법의 일환으로 치료제 개발과 함께 조기 진단 기술 개발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그는 “알츠하이머는 질환이 오랫동안 진행되더라도 환자 자신의 지능, 인지, 기억 등 증상을 자각하기까지 오랜기간이 소요돼 초기 진단 자체가 어렵다”며 “조기 진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은 치료 전략뿐만 아니라 치료제 개발에도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바이오마커(생체지표) 개발이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특정 치료제에 대한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환자를 선별하기 위해 동반진단 기술도 함께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했다.

치매환자 공공 데이터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개별 연구자의 치매환자 뇌조직은행에 대한 접근이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면 부족하다. 개선이 필요하다”며 “개별기업이 우수한 후보물질 도출과 동물모델 활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뇌연구원 등 국책연구원이 공통기반기술과 원천 기술 확보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했다.

그가 지적한 대로 실제로 국립보건연구원이 주관하고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병원, 부산대병원 등 3개 병원에 설치된 치매환자 뇌조직 은행의 2019년도 예산은 6억원, 조직 확보는 25건에 불과했다.

그는 또 “바이오마커, 진단키트, 기기 등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정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병원, 정부연구기관 간 협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