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료기술 평가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이 책임의식을 갖고 임할 수 있도록 평가위원 명단과 회의록을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장정숙의원이 한국보건의료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신의료기술평가가 도입된 2007년 이후 현재까지 2018년까지 신의료기술평가 신청건수는 2,425건이었다.

이중 안전성·유효성 평가를 위해 심층평가가 진행된 건 761건이었고, 심층평가 미수행 1,339건, 기타 325건 등으로 집계됐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근거평가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근거 수준이 D인 경우가 204건 36.7%로 나타났고, C등급도 222건 39.9%로 근거수준 C·D등급이 전체의 76.6%를 차지하는 등 근거 수준의 신뢰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5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경혈 두드리기(감정자유기법)가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에서 신의료기술로 인정되기도 했다. 근거의 수준은 D)등급이었다. 장 의원은 단지 2편의 논문으로 인정돼 의학계 등 사회적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 의사협회 이필수 부회장은 “동영상을 보고 따라하면 될 정도로 의료행위인지 불분명한 기법에 대해 신의료기술을 인정한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주장했다고 장 의원은 전했다.

그러면서 이 모든 논란의 근본적 원인은 의사결정 과정의 불신에 있다면서 규정상 담당 직원이 평가에 관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평가위원 몇몇이 한쪽으로 여론을 몰아간다면 현실적으로 담당직원이 이를 조율하는 게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신의료기술평가 종료 후 보고서를 발간하고 평가내용을 공개하고 있지만, 평가위원 명단과 회의록은 평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

장 의원은 “평가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이 책임의식을 갖고 임할 수 있도록 평가위원 명단과 회의록을 공개해 신의료기술평가에 대한 신뢰성과 공정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