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위기탈출 위해선 연구물 객관성 평가가 중요

의약품유통협회(사진제공=유통협회)
의약품유통협회(사진제공=유통협회)

한국의약품유통협회(유통협회)가 지난 5일 이사회를 열고 '정책연구소' 설립을 승인했다. 협회장의 선거 공약 중 하나였다. 이날 이재현 성균관대 약대 교수를 소장으로 임명했다.

도매유통업계는 지금 근원적인 위기의 징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유통마진율이 한계점을 향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유통 핵심기능인 상적유통(상류)기능이 회복 불능상태로 퇴화되고 있으며, 제약사 '온라인몰'이 기지개를 펴는가 하면, 신규업체들이 끊임없이 밀려들고 있다. 또한 곁가지지만 현장의 골치 덩어리인 일련번호 실시간 보고제의 개선과 반품 법제화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돼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를 풀기위한 수단으로 도매유통업계의 정책연구소 설립 필요성에 십분 공감하고, 이의 실현에 기대가 크다.

그런데 연구소 조직이나 운영방식 등을 들여다보면, 과연 염통 밑에 쉬스는 근원적인 숱한 과제들과 손톱 밑에 가시처럼 아픈 곁가지 과제들이, 이 정책연구소를 통해 제대로 풀릴까 몇 가지 의문이 든다.

연구소 소장이 비상근이다. 상근은 대학교 교수실에서 한다. 그러니까 소장의 본업은 교수다.  연구소에 조직이 없다. 조직원은 MOU 맺은 현업 교수 몇 분이다. 이러하니 연구소의 객관적인 법적 인격화가 불가능하다. 이건 문제가 아닐까?

설사, 연구소 조직을 제대로 갖추고 연구원 분들이 본업으로 하루 24시간씩 전담으로 매달려 아무리 훌륭한 연구물을 내논다 해도, 항상 도매유통업계의 아전인수격 주장이라는 꼬리표가 따라 붙으면서 연구물 가치가 폄하될 텐데, 그렇지도 않은 현 연구소의 미래의 연구 결과가 과연 정책당국자들과 업계 관계자들을 설득시킬 수 있을까?

차라리 이랬으면 어땠을까? 이미 세상이 다 알아버려 엎질러진 물이 되긴 했지만. 유통협회 정책연구소 이름을 걸고 산적된 과제 풀이 연구를 할 것이 아니라, 그 연구소라는 꼬리표를 떼고 그 대학의 그 교수들과 용역 계약 체결을 해 그 과제들을 연구하면 그 결과물에 대해 그렇지 않은 것보다 그래도 더 객관적인 연구라는 평가가 될 수 있을 것이므로, 당국과 업계에 보다 더 설득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지 않은가.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