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훈 과기부 사무관, 신약 개발기간·비용 단축에 역점
"최신 트렌드 반영한 특화 전략 마련해야"

올해 5월 발표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의 후속 조치인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이 이번달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이 사업은 10년간 총 3조5000억원이 투입되는데, 예타 통과 시 오는 2021년부터 혁신 신약후보물질·기술 발굴에 본격 착수하게 된다.

송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사무관
송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사무관

송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생명기술과 사무관은 27일 오후 열린 '데일리팜 제36차 제약바이오산업 미래포럼' 바이오경제와 인공지능 R&D 발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정부는 1994년 1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매 10년마다 관련 기본계획을 세우고 있다. 기본계획 외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특화 전략을 마련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지난해 12월 발표된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추진전략'이 있다. 올해 5월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바이오헬스 분야 최신 트랜드는 정밀의료·빅데이터, 의료기술 혁신, 합성의약품에서 바이오의약품으로의 전환, 신개념 의료기기(융복합) 등이 있다. 2017년 마련된 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바이오경제혁신전략 2025'는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한 사업으로, 목표는 글로벌 바이오시장 점유율을 2015년 1.7%(27조원)에서 오는 2025년까지 5%(152조원)로 확대하는 것이다. 

정부의 바이오 분야 지원 계획은 크게 기존 시장 확대, 미래핵심시장 창출, ICT 융합, 생태계 구축으로 나뉜다. 송 사무관은 "기존 시장은 신약 분야와 의료기기 분야로 구분되는데, 이들 시장 모두 대형 사업을 통해 지원할 계획이다. 신약의 경우 '국가신약개발지원사업'을 통해 10년간 3.5조원을 투자하는데, 올해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한 상황이다. 통과 시 오는 2021년 관련 과제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올해 4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개발 사업'의 경우 내년부터 7년간 총 1조3000억원의 투자가 이뤄지며, 빅데이터·3D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융복합 의료기기를 개발하게 된다. 

정밀·재생의료 분야는 미래핵심시장에 해당한다. 정밀의료는 과기정통부가 '오믹스기반정밀의료기술개발 사업'을 올해부터 6년간 360억원을 투자해 추진하는데, 난치성 질환 대상으로 개인의 생체·진료정보를 통합 활용해 개인 맞춤형 의료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둔다. 재생의료 분야의 경우 '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세포·유전자치료가 확대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이번달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송 사무관은 "바이오 빅데이터는 모든 기술에 활용 가능한 가장 밑바탕이 되는 것이다. 국가는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희귀·난치 질환자 2만명 규모의 '바이오빅데이터 구축 및 추진체계 구축'을 선도 프로젝트 성격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사업'은 올해 6월부터 착수했다. 이 사업은 인공지능·인체장기 모사 조직칩 등을 활용한 플랫폼 구축으로 신약개발 기간·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데 방점을 두며, 오는 2021년까지 446억원이 투입된다. 이 외 과기정통부·산업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3D생체조직칩기반신약개발플랫폼 사업'이 내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다. 

송 사무관은 "그간 실험실 연구에는 공학자들만 많이 참여하는 경향이 있었다. 현장과 동떨어진 기술 개발 방지를 위해 현장 니즈를 잘 아는 혁신형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데이터전문인력 양성도 함께 진행 중"이라면서, "이 외 지역별 바이오 클러스터를 특화하고 성장·연계를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며, 바이오 기술 활용을 위한 양한 인프라 구축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지난해 12월 발표된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추진 전략'은 R&D, 인력, 제도 등 세 가지 투자 카테고리로 구분된다. 신약개발 분야 중 우선 투자되는 4대 선도분야는 후보물질 발굴, 임상시험, 스마트 약물감시, 약물 재창출로 선정됐다. 

송 사무관은 "후보물질 발굴·스마트 약물감시·약물 재창출 분야는 기업 중심의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올해 6월부터 관련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임상시험의 경우 '스마트 임상시험 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병원과 연계해 진행한다. 이 네 가지 분야에서 성과가 나오고 기술이 개발되면 현장 의견 등을 수렴해 나머지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력 양성·제도적 기반 구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송 사무관은 "앞서 두 개의 사업을 통해 개별 맞춤형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며, 맞춤형으로 쌓인 데이터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한편, 지난해 6월 정부는 '인공지능 신약개발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해 신약 개발의 첫 단계인 후보물질 발굴 사업을 진행했다. 이 사업에는 주식회사 아론티어, 중앙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대 4개팀이 참여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재창출 분야에서는 카이스트·서울아산병원이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송 사무관은 "대구첨복재단에서 개발한 기술들을 모아 공개해 향후 산업체 등에서 신약개발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