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석 교수, 입랜스 기자간담회 이같이 밝혀

“최근 CDK4/6 억제제의 개발로 치료 옵션이 제한적이었던 HR+/HER2- 전이성 유방암 치료 환경이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그러나 국내 유방암 환자 다수를 차지하는 폐경 전 젊은 환자들에게는 치료 접근성에 한계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근석 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장 교수는 18일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입랜스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근석 국립암센터 유방암센터장 교수는 18일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입랜스 기자간담회에서 젊은 유방암 치료의 중요성을 주제로 말하고 있다. 

이 교수는 “치료 가능한 옵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한적인 환경에 놓여있는 젊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의학적 미충적 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화이자 측이 밝힌 2012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국내 유방암 주요 발병 연령은 40-50대로 폐경 전 환자가 절반에 달할 정도로 국내에는 젊은 층 유방암 환자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미국 등에서는 주 발병 연령이 65세 이상으로, 국내와는 차이를 보여 최근 국내에서 연구자주도로 젊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CDK4/6 억제제를 투여 임상을 진행했다.

이어 이지선 한국화이자제약 의학부 이사는 입랜스(팔보시클립)의 임상적 유용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이사는 “입랜스는 기존요법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을 개선함과 동시에 전이성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는 치료 옵션”이라며 “현재 국내 폐경 전 환자에서 입랜스와 치료적 위차가 동등한 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더 많은 환자들이 입랜스의 임상적 혜택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또 그는 폐경 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급여 진행 현황과 관련해 "지난 3월 급여 재신청을 했다"고 했다.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PALOMA-3 임상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랜스-플베스트란트 병용요법군의 무진행 생존기간 중간값(mPFS)이 9.5개월, 위약-풀베스트란트군이 4.6개월로 확인됐다. 또 폐경 전과 폐경 후 환자에서 각 9.5개월, 9.9개월로 나타났다 위약군은 각 5.6개월, 3.9개월 나타나 폐경 전과 폐경 후 모두에서 입랜스 병용군의 mPFS가 비교군 대비 약 2배 이상 연장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전체 생존기간(OS) 세부 데이터 연구의 무진행 생존기간 후속분석에 따르면 입랜스 병용군의 mPFS는 11.2개월, 위약군은 4.6개월로 나타났다.

한편, 입랜스는 미국 FDA로부터 지난 2013년 4월 획기적 치료제로 지정돼 허가를 받았다. 국내에는 지난해 8월 출시됐다. 현재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과 유럽종양학회(ESMO)는 가이드라인을 통해 입랜스 병용요법을 폐경 전과 폐경 후 HR+/HER2- 전이성 유방암 환자 치료에서 category 1으로 권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히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